공지사항(70)
-
[협회동향] 2022년 제4차 이사회 개최
우리 협회는 지난 10월 19일 서울 본회에서 2022년 제4차 이사회를 개최하여 주요 사업 진행 현황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협회측이 통관단계 지재권 보호 현안 및 대책, 유통단계 지재권 보호 활동 강화 계획,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구축 사업 진도 현황, AI 정보시스템 개발사 출자를 통한 지재권 보호 기반 강화 방안 등을 보고하였고, 통관단계 및 유통단계 양측 모두에서 급증하는 업무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협회 인력 확대 운영 방안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협회 회장단, 이사 회원사인 삼성전자, 현대모비스, LG전자, 루이비통코리아, 케어링코리아, 영원아웃도어 관계자가 참석하였습니다.
-
[협회동향] 말레이시아 ‘React Annual Meeting’ 참석
<TIPA 주제 발표> 11월 21일부터 22일까지 우리 협회 관계자들은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열린 React Annual Meeting 행사에 참여하였습니다.
-
[협회동향] 2022년 지식재산권 해외세관 신고 가이드북 발간
우리 협회는 2022. 11. 30. 「2022년 지식재산권 해외세관 신고 가이드북」을 발간하였습니다.이 가이드북은 해외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권이 외국에서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 협회는 2022. 11. 30. 「2022년 지식재산권 해외세관 신고 가이드북」을 발간하였습니다. 이 가이드북은 해외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권이 외국에서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세청과 우리 협회가 협력하여 매년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것입니다. 그 수록 내용은 주요 수출대상국 20개 국가별로 우리 기업이 해외 세관에 대하여 지재권의 보호를 요청(소위 “세관신고”)하는 절차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 협회는 이 가이드북을 국내의 지재권자, 지재권자의 법률대리인, 지재권 보호 유관기관,전국 세관 등에 배포하여, 수출업체가 해외에서 자사의 지재권을 보호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협회동향] 2022년 지재권 해외 세관 신고 제도 설명회 개최
우리 협회는 2022. 12. 1. 서울세관에서 지재권 해외 세관 신고제도 설명회를 개최하였습니다.이 날 설명회는 우리 기업 브랜드가 해외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국내 수출기업 ‧ 법률대리인 ‧ 관련단체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
[협회동향] ‘소비자 보호 분과위원회’ 개최
ㅇ 우리 협회는 12월 2일 소비자보호 위원회를 개최하여 2022년 사업 추진 현황과 2023년도 추진방향을 공 유 하고, 회원사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ㅇ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후 시중 유통 전 단계에서 의 소비자 보호를 위한 TIPA 검사 확대 방안, 그 검사와 관련된 정보처리의 효율화를 위한 위조품 식별 지원 시스템 구축 현황, 중소 수출 입 업체를 위하여 교통 요지에 TIPA 자체 검사센터를 운영하는 방안, 최근 TIPA 시중 유통 전 단계 검사 과정에서 지속 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위조품 사례를 공유하였습니다. ㅇ 이에 대하여 참석자들은 위조품 식별 지원 시스템 시행 시기, 검사센터의 운영 개시 시기와 검사 소요시 간 등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ㅇ 한편 이날 회의에는 회원사 6개사 9명, 비회원사 3개사 4명이 참석하였습니다. 회원사로는 롯데온, 위메 프, 롯데홈쇼핑, 현대홈쇼핑, 이랜드리테일, 롯데탑스, 무신사, 비회원사로는 네이버, SK스토어, 홈앤쇼 핑이 참석하였습니다.
-
[해외 지재권 이슈] 2022년 상반기 일본세관 지식재산권 침해물품 단속실적
- 일본 재무성은 2022년 9월 9일 2022년 상반기 중 전국세관의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 단속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 이 기간 동안 세관의 침해 물품에 대한 수입금지조치 건수는 12,519건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14.3%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서 11년 연속 1만 2천 건을 초과하였습니다.- 침해 물품 수출국별, 지식재산권별, 품목별 수입금지 조치 실적 등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는 일본 재무성의 자료를 번역 및 편집한 자료입니다.
-
[입찰 공고] 실증랩 전산 운영 및 보안관리 용역
안녕하십니까.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 실증랩 전산운영 및 보안관리 용역입찰 공고입니다.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고, 많은 응모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행사안내] 관세청, 2023 KOREA CUSTOMS WEEK 개최 (4.26 ~ 27)
관세청에서 주관하는 KOREA CUSTOMS WEEK 2023 개최 안내 드립니다.주요 수출국에서 수출관련 애로를 겪고 있거나 현지 세관과 네트워크 구축, 통관정보 등이 필요한국내 수출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관세당국과의 비즈니스 미팅 기회를 제공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행사 내용 및 참가신청은 KCW 2023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KCW 2023 공식 홈페이지 : https://koreacustomsweek.org/kor_ver/main.asp- 일 정 -1. 참가대상 : 대상 국가에 현재 수출 중이거나 수출 예정 기업2. 신청기간 : 3월 15일 (수) ~ 31일 (금) 18시까지 신청3. 참가기업 선정 및 결과통보 : 4월 14일 (금) 4. 행사기간 : 4월 26일 (수) ~ 27일 (목)
-
해외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절차 및 무료 상담 지원 안내
안녕하십니까 TIPA입니다. TIPA에서는 K-브랜드의 해외 지식재산권 피해를 예방 및 보호 하고자 해외 지식재산권 등록절차(중국)를 안내드립니다. 아래의 절차 및 첨부자료는 한국지식재산보호원과 특허청이 제작된 자료로 특허법인 아이피 센트에서 중국내 지식재산권 출원·등록시 참고하도록 보내온 자료입니다. 중국내 출원·등록시 참고 하실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되어 공유드리니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활용 하시기 바랍니다.[중국내 상표 등록절차]<자료제공 : 특허법인 아이피센트>상기 건과 관련하여 특허법인 아이피센트에서 자료를 제공해오면서 중국 내 지식재산권 출원·등록이 필요한 분들께 무료 상담을 제공한다고 하오니 필요 하신 분들은 활용하시기 바라며, 또한 TIPA회원 및 본 안내를 통해 문의를 주신 분들께는 출원 및 등록시 국내 대리인 수수료를 추가 할인하여 제공한다 하오니 필요하신분들께서는 활용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중국내 상표 출원·등록 관련 무료 상담 연락처>특허법인 아이피센트 송철민 변리사 ☏ 02-2135-5172, 010-3234-7472 E-mail : min@ipscent.com
-
K-브랜드 중국 내 지재권 보호 지원 사업 신청 안내(1차 마감)(회원사의 경우 신청가능)
K-브랜드 중국내 지재권 보호 지원 사업 1차 신청건은 마감되었습니다. 많은 신청과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TIPA 회원사의 경우, 마감된 건과 별개로 지속 신청이 가능합니다. - 2차 사업 신청은 추후 검토 후 진행 예정1. 사업명 : K-브랜드 중국 내 지재권 보호 지원 사업2. 지원 사업 내용 1) 중국 위조제품 현황 기초 시장조사 무상 지원 * 온라인/오프라인 지재권 침해 시장 조사 결과 보고서 제공 2) 중국 내 피조사 업체 단속(온라인, 오프라인) 및 민·형사 소송 지원 - 중국내 침해업체 단속·소송을 실시하여 ‘합의금 및 배상금 등’으로 실질 비용을 정산 * 부족분액이 발생하여도 기업에 미청구, 실질적 기업의 비용 납부 없음 - 중소·중견기업의 신청 건의 경우 합의금 및 배상금을 통한 비용 정산 이후 잔여 보상액 중 일부 기업에 환급 3. 지원 신청 요건 및 제출 서류 가. 지원 신청 ◦ 접수 기간 : 2023. 4. 24(월) ~ 추후 별도 안내 ◦ 접수 방법 : E-mail로만 접수 - 담당 : 류중희 과장, 02-3445-3761, yoojh@e-tipa.org 나. 지원 대상 기업 선정 기준 ◦ 중국 내 지식재산권 등록 여부 ◦ 중국 내 지식재산권 침해 규모 ◦ 중소·중견기업 해당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 다. 제출 서류 ◦ 지원 신청 시 제출 서류(별첨 참조) 1) 필수 제출 서류 ① K-브랜드 해외 지재권 보호 사업(중국) 신청서(붙임1) ② 중국 위조제품 현황 기초 조사 등 신청서(붙임2) ③ 사업자등록증(국문/영문본) ④ 중국내 지식재산권등록증 사본(상표 등) 2) 선택 제출 서류 ⑤ 「중소기업기본법」 상 중소기업 또는「중견기업법」상 중견기업을 증명하는 서류 (환급 희망 시 필요 서류) ⑥ 중국내 예상되는 침해 및 피해 규모(사례) 자료 4. 업무 지원 절차 1) 1차 신청서류 제출(E-mail) 2) 선정기업 통보(5.2 예정) 3) 2차 서류 제출 및 상세 절차 안내 ※ 1차 선정 기업에 대하여 별도 안내 예정 4) 중국내 신청기업의 위조품 침해 현황 기초 시장조사 보고서 제공(1~2개월 소요 예상)중국 내 지재권 출원 등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전 게시글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e-tipa.org/board/notice/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