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39)
-
2023년 9월호 국문/ENG
회원사는 “회원사 커뮤니티" 에 접속하여 뉴스레터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협회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해외 지재권 회원사(MLB), TIPA 내방(3.13)
-
TIPA, 시무식&사내 워크숍 개최(1.26)
-
오늘의집, TIPA 특별회원사로 합류하여 지재권 보호 활동 적극 나서(5.30)
-
대통령 소속 지재위, 지식재산보호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TIPA 참여)
-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지식재산 보호 분야 공공기관 및 민간협회 등이 참여하는 '지식재산 보호 유관기관 협의회'를 3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하였다. - 이번 협의회에는 TIPA 외 지식재산권 관련 공공기관 및 민간협회 총 11개사가 참여했다. *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한국지식재산협회,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등의 기관과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패션산업협회, 브랜드지식재산권보호협회, 한국음악콘텐츠협회,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 협의회에서는 최근 유통플랫폼에서의 지재권 침해 피해에 대해 대응하고자 피해 현황과 애로사항등을 청취하였다. 논의된 의견들은 분야별 지식재산권 보호 주무부처에 전달될 예정이다.* 출처 : 대통령 소속 지재위, 지식재산 보호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 < 일반 < 기업 < 기사본문 - IT조선 (chosun.com) 인터넷 유통플랫폼 지재권 침해에 민관 대응…협의회 개최 | 연합뉴스 (yna.co.kr)
-
2025년도 신규 회원사 소개(1~4월)
-
2025년도 신규 회원사 소개(5월)
-
일반화물 등 지재권 침해물품 적발 활성화를 위한 실무 현장 간담회 및 견학
o 행사개요 - 목적 : 일반화물 등 지재권 침해물품 적발 활성화를 위한 세관-권리자 간 실무 현장 간담회 및 현장 견학 - 협조기관 : 인천본부세관 통관검사 및 조사과 - 일시 : 6.23 14:00 ~ 15:20 - 참석 권리자 : 아모레퍼시픽, 루이비통, 케어링, 아디다스, 크록스, 버버리, 구다이글로벌, 아이아이컴바인드, 미리어드IP 등 총 14명 o 세부내용 및 결과 - TIPA는 관리대상화물과 일반화물로 반입되는 지재권 침해 물품 적발 활성화를 위해 권리자와 세관 직원 간 실무적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등을 논의하는 현장 간담회를 개최함 - 간담회에서는 권리자들이 일반화물 적발 시 겪는 다양한 실무적 애로와 건의사항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2025년 4월부터 TIPA가 시행 중인 지재권 침해의심 일반화물 및 조사화물의 시범지원에 대한 세관 현장 직원들의 직접적인 의견과 평가를 청취함(지원이 큰 도움이 됨). - 또한, 권리자들이 일반화물 적발 사례와 관련한 처리절차 등 실무적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세관과 권리자 간 소통과 협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자리로 평가됨. - 간담회 후, 참가자들은 세관에 압수된 지재권 침해물품을 직접 견학하며, 현장 운영 및 관리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음. - 참가자들은 향후에도 정기적인 현장 간담회 및 견학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최를 희망함.
-
2025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세관직원 순회교육(정규 5차 인천본부세관)
o 행사개요 - 목적 : 세관직원의 지재권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통해 통관 단계에서의 침해물품 단속 효과를 제고하기 위함 - 대상 : 인천본부세관 권역 내 세관직원 - 일시 : 6.20, 6.23 09:00 ~ 17:30 - 참여 권리자 : 삼성전자, 하이브, 김앤장, 다이슨, 아모레퍼시픽, 노스페이스, PXG, 현대자동차, 타이틀리스트, 샤넬, 조앤파트너스, 미리어드IP, 아디다 스, 현대모비스, 케어링, 루이비통, 데커스, 크록스, 버버리, 구다 이 글로벌, 아이아이컴바인드, 시몬스, 산리오 등 총 26명 o 세부내용 및 결과 - TIPA는 관세청 주최 하에, 세관직원의 브랜드별 위조품 식벽능력 강화 및 전문성 확보와 더불어 통관단계에서의 효과적인 지식재산권 보호 의식 함양을 위해 지식재산권 보호 교육을 진행함. - 브랜드별 국내외 위조품 동향 및 식별 요령과 진가품 실물 비교 및 지재권 침해 사례를 공유함. - 지식재산권 이론 교육을 통해 지식재산권의 의의와 분류,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다양한 판례와 예시를 통해 사례형 교육을 진행하였음. - 교육 실시 후 실시한 만족도 조사 결과, 해당 교육이 실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며 업무에의 활용도가 높고, 내용이 이해하기 쉬웠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다수 확인됨.